빈센트 반 고흐는 여동생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의 독서의 목적은 ‘저자를 찾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여러분이 성경을 읽는 목적이 무엇입니까? 성경을 읽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그리스도를 만나는 것입니다. 이 점은 신앙생활에서 성경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성경을 읽으면서 우리는 마음의 불안을 이기고, 용기를 얻으며, 인생의 방향을 찾을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그리스도와의 관계를 맺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입니다. 바울은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사람의 말이 아닌,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였음을 언급합니다. 그래서 바울은 그들에게 말씀을 전할 때마다 기쁨을 느꼈다고 합니다. 그럼 어떻게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은 말씀을 들을 때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았을까요?
1. 말씀의 초월성
데살로니가 성도들은 하나님의 말씀의 초월성을 믿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인간의 경험과 지식을 초월하며, 물질적 세계에 제한되지 않고 영적인 차원에서 존재합니다. 요한복음 1장 1절은 "태초에 말씀이 계셨고, 이 말씀은 하나님과 함께하셨으며,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다"라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말씀은 인간의 생각이나 경험 이전에 존재하는 것이며, 우리는 이를 영적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이는 신앙생활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하는지를 명확히 해줍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말씀에는 세 가지 차원이 있습니다. 1) 예수님의 말씀이다.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이다. 선포된 말씀이다. 그런데 이 시대의 사람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않습니다. 말씀을 듣지 않으니까 희망이 없는 것입니다.
2. 말씀의 관계성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의 삶의 관계성에 있습니다. 바울이 전한 말씀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인 데살로니가 성도들의 태도는 그들이 믿는 자들 가운데에서 역사하는 원인이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는 하나님께서 그들을 책임지게 만듭니다. 반면에 하나님의 말씀을 가볍게 여기면 하나님도 그들을 버리게 됩니다. 구약 성경에 등장하는 사울 왕의 사례를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소홀히 여긴 결과로 왕국을 잃게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하나님 말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믿는 자들이 말씀을 어떻게 경청해야 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죠지 뮬러는 독일 출신으로, 아프리카 선교사가 되기 위해 영국으로 유학을 떠났습니다. 그는 거리의 고아들을 보며 선교의 길을 결심하던 중, 시편 68편 5절을 통해 하나님의 마음을 깊이 깨닫고 감동을 받았습니다. “하나님은 고아의 아버지이시다”는 말씀을 통해, 그는 하나님께서 가장 기뻐하시는 일을 찾았고, 그 길이 고아들을 돌보는 일임을 확신하게 됩니다. 그런데 그는 사람들에게 어떤 후원도 요청하지 않고, 오직 기도로 고아원을 세웠습니다. 놀랍게도 돈 한 푼 없이 시작한 이 사역은 하나님께서 매 순간 공급해 주시는 은혜로 이어졌고, 결국 2,000명이 넘는 고아들이 그의 보호 아래 자라나게 됩니다. 죠지 뮬러는 단 한 번도 자신의 어려움을 사람들에게 말하지 않고, 오직 하나님께 기도로 아뢰었다고 고백합니다. 그의 삶은 하나님을 전적으로 신뢰하며 살아간 신앙의 본보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오늘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바울을 감동시켰습니다. 왜냐하면 저들이 바울의 말을 들을 때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는 말이 어눌하고 간질 또는 안질도 있었습니다. 그의 외모는 초라했습니다. 하지만 교인들이 바울을 통해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들었던 것입니다.
3. 말씀의 활동성
마지막으로, 말씀은 왕성하게 활동하는 힘이 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살아있고 역사하는 힘이 있으며, 이는 신앙생활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옵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창조의 원동력이 되었으며, 시편에서도 그 말씀의 능력을 강조합니다. 시편 107편 20절에서는 "그가 그의 말씀을 보내어 그들을 고치시고 위험한 지경에서 건지시는도다"라는 구절을 통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말씀을 붙잡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말씀의 에너지는 강렬하며,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는 힘이 있습니다. 미국 육군 장군 출신이자 작가였던 루 월리스는 무신론자인 친구 봅 잉거솔과의 대화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풍자적 연애소설을 쓰기로 결심합니다. 그는 성경이 허구임을 입증하여서 돈을 벌고자 했습니다. 그런데 이를 위해 성경을 읽고 이스라엘까지 여행하며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마음에 큰 변화가 일어납니다. 성경을 깊이 연구할수록 예수는 단순한 인물이 아닌 역사적으로 실존한 하나님의 아들임을 확신하게 됩니다. 탈고 직후에 그는 무릎을 꿇고 “진실로 주는 하나님의 아들이시요 나의 구주이십니다”라고 고백하며 예수님을 영접하게 됩니다. 그렇게 해서 탄생된 작품 《벤허》는 이후 전 세계적으로 큰 감동과 영향을 준 작품으로 남게 됩니다. 성경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깊이 이해하고, 그분의 뜻을 깨닫게 되며,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우리 삶 속에 언제나 하나님의 말씀을 가까이 하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빈센트 반 고흐는 여동생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의 독서의 목적은 ‘저자를 찾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여러분이 성경을 읽는 목적이 무엇입니까? 성경을 읽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그리스도를 만나는 것입니다. 이 점은 신앙생활에서 성경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성경을 읽으면서 우리는 마음의 불안을 이기고, 용기를 얻으며, 인생의 방향을 찾을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그리스도와의 관계를 맺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입니다. 바울은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사람의 말이 아닌,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였음을 언급합니다. 그래서 바울은 그들에게 말씀을 전할 때마다 기쁨을 느꼈다고 합니다. 그럼 어떻게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은 말씀을 들을 때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았을까요?
1. 말씀의 초월성
데살로니가 성도들은 하나님의 말씀의 초월성을 믿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인간의 경험과 지식을 초월하며, 물질적 세계에 제한되지 않고 영적인 차원에서 존재합니다. 요한복음 1장 1절은 "태초에 말씀이 계셨고, 이 말씀은 하나님과 함께하셨으며,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다"라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말씀은 인간의 생각이나 경험 이전에 존재하는 것이며, 우리는 이를 영적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이는 신앙생활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하는지를 명확히 해줍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말씀에는 세 가지 차원이 있습니다. 1) 예수님의 말씀이다.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이다. 선포된 말씀이다. 그런데 이 시대의 사람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않습니다. 말씀을 듣지 않으니까 희망이 없는 것입니다.
2. 말씀의 관계성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의 삶의 관계성에 있습니다. 바울이 전한 말씀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인 데살로니가 성도들의 태도는 그들이 믿는 자들 가운데에서 역사하는 원인이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는 하나님께서 그들을 책임지게 만듭니다. 반면에 하나님의 말씀을 가볍게 여기면 하나님도 그들을 버리게 됩니다. 구약 성경에 등장하는 사울 왕의 사례를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소홀히 여긴 결과로 왕국을 잃게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하나님 말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믿는 자들이 말씀을 어떻게 경청해야 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죠지 뮬러는 독일 출신으로, 아프리카 선교사가 되기 위해 영국으로 유학을 떠났습니다. 그는 거리의 고아들을 보며 선교의 길을 결심하던 중, 시편 68편 5절을 통해 하나님의 마음을 깊이 깨닫고 감동을 받았습니다. “하나님은 고아의 아버지이시다”는 말씀을 통해, 그는 하나님께서 가장 기뻐하시는 일을 찾았고, 그 길이 고아들을 돌보는 일임을 확신하게 됩니다. 그런데 그는 사람들에게 어떤 후원도 요청하지 않고, 오직 기도로 고아원을 세웠습니다. 놀랍게도 돈 한 푼 없이 시작한 이 사역은 하나님께서 매 순간 공급해 주시는 은혜로 이어졌고, 결국 2,000명이 넘는 고아들이 그의 보호 아래 자라나게 됩니다. 죠지 뮬러는 단 한 번도 자신의 어려움을 사람들에게 말하지 않고, 오직 하나님께 기도로 아뢰었다고 고백합니다. 그의 삶은 하나님을 전적으로 신뢰하며 살아간 신앙의 본보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오늘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바울을 감동시켰습니다. 왜냐하면 저들이 바울의 말을 들을 때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는 말이 어눌하고 간질 또는 안질도 있었습니다. 그의 외모는 초라했습니다. 하지만 교인들이 바울을 통해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들었던 것입니다.
3. 말씀의 활동성
마지막으로, 말씀은 왕성하게 활동하는 힘이 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살아있고 역사하는 힘이 있으며, 이는 신앙생활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옵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창조의 원동력이 되었으며, 시편에서도 그 말씀의 능력을 강조합니다. 시편 107편 20절에서는 "그가 그의 말씀을 보내어 그들을 고치시고 위험한 지경에서 건지시는도다"라는 구절을 통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말씀을 붙잡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말씀의 에너지는 강렬하며,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는 힘이 있습니다. 미국 육군 장군 출신이자 작가였던 루 월리스는 무신론자인 친구 봅 잉거솔과의 대화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풍자적 연애소설을 쓰기로 결심합니다. 그는 성경이 허구임을 입증하여서 돈을 벌고자 했습니다. 그런데 이를 위해 성경을 읽고 이스라엘까지 여행하며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마음에 큰 변화가 일어납니다. 성경을 깊이 연구할수록 예수는 단순한 인물이 아닌 역사적으로 실존한 하나님의 아들임을 확신하게 됩니다. 탈고 직후에 그는 무릎을 꿇고 “진실로 주는 하나님의 아들이시요 나의 구주이십니다”라고 고백하며 예수님을 영접하게 됩니다. 그렇게 해서 탄생된 작품 《벤허》는 이후 전 세계적으로 큰 감동과 영향을 준 작품으로 남게 됩니다. 성경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깊이 이해하고, 그분의 뜻을 깨닫게 되며,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우리 삶 속에 언제나 하나님의 말씀을 가까이 하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